로그인 |
오시는 방법(-클릭-) 회원가입은 이곳으로 클릭++^^ 시작페이지로 이름 제목 내용

환영 합니다.  등단작가이시면 빈여백 동인이 가능 합니다.

회원 가입하시면 매번 로고인 할 필요 없습니다.

따뜻한 한잔의 커피

페이지 정보

작성자 : 김 의중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이름으로 검색 ( 댓글 0건 조회 1,749회 작성일 2003-02-14 10:31

본문

<커피한잔의 사색(思索) 2>


-따뜻한 한잔의 커피-

때로는 따뜻한 한잔의 커피가 한끼의 식사보다 더 귀하게 그리울 때가 있습니다. 

젊은 날에 감명 깊게 읽었던 '어느 휴머니스트의 고백'이라는 책이 생각납니다.  주로 전쟁 중 전사했거나 포로, 또는 레지스탕스로 체포되어 감옥에 있다가 사형을 당한 사람들이 남긴 죽기 직전의 마지막 편지나 일기(日記)들을 수록한 책입니다.
그 책 속에 6.25전쟁에 파병되어 부상으로 죽어가는 어느 미군병사가 쓴 '따뜻한 한잔의 커피와 침대를....'이란 글이 실려있습니다.  아마도 1.4후퇴 때 부상으로 낙오되어 어느 민가(民家) 촌부(村婦)의 도움으로 동굴에 은신한 채 치료할 약도 없이 굶주림과 고통으로 죽어가는 병사가 마지막으로 고향에 보내는 편지에서
"....  지금은 다만 따뜻한 한잔의 커피와 편하게 발을 펴고 누울 수 있는 침대가 그립습니다."라는 말을 남긴 글입니다.

그렇게 차가운 이국 땅에서 목숨을 버리면서까지 싸워야할 이념이 이 병사에게는 존재하지 않았는지도 모릅니다.  이 병사의 글에서는 어떤 사상적 이념이나 인생의 철학적인 깨달음의 묘사를 발견할 수 없습니다. 
다만 허망하게 자신의 생명의 등불이 꺼져감을 예감하며 고향의 부모와 형제들에 대한 못 다한 그리운 정(情)과 인간으로서 누릴 수 있는 지극히 평범한 일상의 작은 권리를 이야기하고 있을 뿐입니다. 
젊은 병사의 마지막 바램은 죽기 전 따뜻한 한잔의 커피를 마시며 편안한 침대에 몸을 뉘어보고 싶은 것뿐이었으나 그는 그 하찮은 작은 꿈조차 이루지 못한 채 짧은 생애를 회한과 체념으로 낯선 이국 땅에서 마치고 맙니다.

나는 지금 달빛이 스민 평화로운 이 시간과 공간에서 따뜻한 한잔의 커피를 마시며 우리가 바라는 진정한 소망은 무엇인가 잠시 생각해봅니다.  어쩌면 우리는 평범한 일상에서 얻을 수 있는 기쁨과 행복을 외면한 채 과욕과 탐욕으로 허덕이며 고달프고 불행한 삶을 자초해서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요?
우리의 일상에서 흔하게 대하는 커피한잔!  중요한 만남이나 깊은 사색의 자리에 늘 함께 하면서도 정작 자신의 가치와 인식에 대한 비중에서는 언제나 의미가 축소된 '다반사(茶飯事)'로 치부되는 커피한잔! 
때로는 건강이나 카페인을 들먹이며 마치 인간에게 해악한 존재라도 되는 것처럼 푸대접을 받기도 하는 커피한잔! 
그러나 그 한잔의 커피가 인생의 종말을 맞는 누구에게는 열망(熱望)으로 추구하던 어떤 이념이나 천만금의 보석보다도 더 소중하게 그리워지는, 따스함과 평안함을 지닌 삶의 다정한 벗이 되기도 하며 기계문명과 황금만능의 사회에서 상실된 인간성(Humanism)을 회복해주는 귀중한 존재가 되기도 하는 것입니다.

이곳 TV에서는 최근 북한의 핵 개발 문제로 인해 한반도에서 정치적인 긴장상황이 형성되고 있는 점에 대해 해설을 하는 과정에서 지난달에 한국에서 미군 탱크에 깔려죽은 두 여중생의 죽음을 애도하는 촛불시위가 있었으며 이로 인해 한반도에서 반미감정이 비등하고 있다는 내용을 소개하기도 합니다.
따뜻한 한잔의 커피를 아쉬워하며 낯선 이국 땅에서 죽어간 미군병사의 피 흘림과 또 다른 미군 병사에 의해 저질러진 두 여중생의 허망한 죽음은 어제와 오늘, 그리고 사연 많은 이 땅에서 어떤 의미를 갖고있는 것일까요?
어느 누구의 죽음이라 하더라도 당사자는 물론 가족과 친지들, 우리가 사는 사회에서 헛되지 않은 의미가 있어야하지 않을까요?

다만 이 시간, 따뜻한 한잔의 커피를 음미하며 정치나 경제, 과학에 앞서 인간의 인간다움을 존중하는 진정한 휴머니즘이 더불어 사는 사회에서 사람들의 가슴마다 진한 커피향기처럼 따스하게 피어날 수 있기를 잠시 눈을 감고 기원해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문학발표 목록

Total 5,585건 27 페이지
문학발표 목록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5195 이순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7 2007-04-19
5194 김영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7 2010-07-11
5193 no_profile 백계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5 2007-08-31
5192 no_profile 백계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4 2007-08-31
5191 이순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2 2010-03-31
5190 김영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1 2010-10-18
열람중 김 의중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이름으로 검색 1750 2003-02-14
5188 김만권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748 2008-05-20
5187 김춘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46 2005-05-24
5186 朴明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46 2007-03-06
5185
민들레(59) 댓글+ 1
박규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45 2010-03-27
5184 윤기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45 2010-09-03
5183 박종영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744 2003-02-03
5182 유성순 홈페이지 이름으로 검색 1744 2003-02-07
5181
청계천 풍경화 댓글+ 1
no_profile 신외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43 2007-02-26
게시물 검색
 
[02/26] 월간 시사문단…
[08/28] 토요일 베스트…
[07/03] 7월 1일 토…
[04/28] 5윌 신작시 …
[11/09] 2022년 1…
[08/08] 9월 신작 신…
[08/08] 9월 신작 신…
[06/29] -공개- 한국…
[06/10] 2022년 ◇…
[06/10] 2022년 ◇…
 
[12/28] 김영우 시인님…
[12/25] 시사문단 20…
[09/06] 이재록 시인 …
[08/08] 이번 생은 망…
[07/21] -이번 생은 …
 
월간 시사문단   정기간행물등록번호 마포,라00597   (03924)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54길 17 사보이시티디엠씨 821호   전화 02-720-9875/2987   오시는 방법(-클릭-)
도서출판 그림과책 / 책공장 / 고양시녹음스튜디오   (10500) 고양시 덕양구 백양로 65 동도센트리움 1105호   오시는 방법(-클릭-)   munhak@sisamundan.co.kr
계좌번호 087-034702-02-012  기업은행(손호/작가명 손근호) 정기구독안내(클릭) Copyright(c) 2000~2024 시사문단(그림과책).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