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오시는 방법(-클릭-) 회원가입은 이곳으로 클릭++^^ 시작페이지로 이름 제목 내용

환영 합니다.  회원가입 하시면 글쓰기 권한이 주어집니다.

회원 가입하시면 매번 로그인 할 필요 없습니다.

한국 문학의 흐름 ㅡ 3

페이지 정보

작성자 :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 댓글 2건 조회 1,733회 작성일 2007-02-05 06:08

본문

 
한국 문학의 흐름 ㅡ 3 <옮김>
 
 
6. 한문 문학의 변모와 실학파 문학 위항 문학
조선 전기 도학 사상의 영향을 받은 한문학은 예술과 철학이 결합된 형태인 醇正文學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이 시기에 와서는 예술과 현실이 결합한 형태인 實學文學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또 실학파의 대두와 함께 상공업이 성장하고 그로 인해 富를 축적한 서울 근교의 중인들이 문학에 참여하게 되어 커다란 세력을 형성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委巷(閭巷) 문학이다.

⑴ 한문학 4대가 양란 이후 조선 전기의 醇正文學을 이어받기 위한 사대부들의 노력이 실학의 거센 도전 속에서도 행해졌는데 그 결과로 나타난 이들이 한문학 4대가들이다. 월사 이정구, 상촌 신흠, 택당 이식, 계곡 장유가 그들이다.

⑵ 실학파 문학
① 경세치용학파 중농주의를 취한 사람들로 이익, 이용휴, 이가환, 정약용 등이 대표적이다.
② 이용후생학파 중상주의를 취한 사람들로 홍대용, 박제가, 빅지원, 유득공 등이 대표적이며 북학파로도 불린다.
- 실학 4대가 이덕무, 유득공, 박제가, 이서구

⑶ 위항 문학(閭巷文學)이라고도 하며 여항은 사대부와 서민의 중간 계층인 중인 신분 계층이 사는 곳을 말한다. 실학의 대두로 말미암아 생활에 여유가 생긴 의학 譯學 算學 律學 樂學 등 이른바 잡학에 종사했던 전문 지식인인 이들은 처음엔 관계 진출에 뜻을 두고 공부를 했다. 그러나 곧 신분상의 제약으로 인해 좌절을 겪게 되자, 문학으로 관심을 돌리게 된다.
① 詩社의 결성 거주지를 중심으로 문학적 취미가 같은 사람들끼리 모여 풍류를 즐겼는데 송석원시사, 칠송정시사 등이 유명하다.
② 시선집 편찬 漢詩를 모은 시선집을 발간하기도 했는데 [소대풍요], [풍요속선],[풍요삼선] 등이 있다.



7. 판소리 민속극의 성장
이 시기에 들어와 민중의 문학 참여가 극대화되어 나타난 대표적 양식이 판소리와 민속극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모두 종합 예술의 형태를 띠고 있으나 그 대본은 국문학의 한 양식이 된다.

⑴ 판소리 전문 예술가인 광대가 부르는 구비 서사시
① 기원 어원은 '판(무대)'에서 부르는 소리라는 뜻으로 판소리라고 부른다는 설도 있고 각 장마다 판을 짜서 부른다는 뜻으로 판소리라고 부른다는 설도 있다.
그 기원에 관해서도 많은 논란이 있는데 현재까지는 전라도 중심의 세습무들 이 부르는 서사 무가에서 나왔다는 견해가 가장 유력하다.
② 사설의 성격 서민들의 현실적인 생활을 주로 그리고 있으며 극적 내용이 많고 민속적이며 풍자와 해학이 풍부하다.
③ 가창 방식 창자인 광대와 반주자인 고수의 두 사람에 의해 진행된다. 광대는 고수의 장단에 맞춰 창과 아니리를 섞어가며 노래를 하면서 사설에 맞춰 너름새를 곁들이고 고수는 추임새로 광대의 흥을 돋우어 준다. 사건의 전개에 꼭 필요한 서사 부분은 주로 아니리로 하며, 서정이나 묘사 부분은창으로 한다.
④ 용어
- 광대 노래를 부르는 사람
- 고수 북을 치며 장단을 맞추는 사람
- 아니리 노래 도중에 말로 하는 부분
- 너름새(발림) 노래를 부르며 하는 몸 동작
- 추임새 고수나 청중들이 창 도중에 흥에 겨워 내는 탄성
- 장단 진양조 -- 중모리 -- 중중모리 -- 자진모리 -- 휘모리
⑤ 판소리 12마당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타령, 배비장타령, 강릉매화전, 옹고집전, 장끼타령, 왈자타령, 가짜신선타령(마지막 둘을 무숙이 타령, 숙영낭자전으로 하기도 함)
⑥ 판소리 여섯 마당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타령
⑦ 신재효 고종 때의 전라도 고창 출신의 아전. 판소리에 대한 독자적인 이론을 정립하였고 판소리 광대들에 대한 지원과 양성에 힘을 기울였으며 당시 유행하던 판소리 12마당 중 에술적 가치가 미약한 것을 없애고 여섯 마당으로 정리하였다. 그밖에 판소리 단가도 여러 편 지었다.

⑵ 민속극
① 탈춤 고려의 팔관회로부터 시작된 민속극은 이 시기에 와서 도시 중심의 탈춤으로 정착되었다. 탈춤은 원래 농촌 중심의 마을 굿으로 시작되었는데 18세기 중엽 이후 새로운 상업 도시가 등장하면서 그 도시의 주민과 상인이 주동이 되어 도시 탈춤으로 변모하게 된다. 대표적인 것으로 양주 별산대, 송파 산대놀이, 봉산 탈춤, 고성 오광대, 동래 야유 등이 있다.
② 인형극 꼭두각시극으로 모두 박으로 만든 인형을 사용했기 때문에 박첨지극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③ 의의 민속극은 서민 대중들의 생활 감정이 강렬히 반영되어 있는 대동 놀이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는 등장 인물 사이의 갈등이 박진감 있게 구현되어 있으며 하층 민중의 생활 의지와 어긋나는 지배 체제와 허위 의식을 다각도로 비판하였다는 점에서 18세기 이후에 대두한 혁신 운동이 가장 극명하게 나타난 예술 형태라고 할 수 있다.



5)개화기 문학

- 전환기에서의 저항과 창조 -

1. 시대 개관
이 시기는 갑오경장(1894)에서 한일합방(1910)에 이르는 개화 계몽기의 문학을 일컬으며 개화기, 또는 신문학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시기의 문학은 고전 문학에서 현대 문학으로의 이행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시기이자 서구 열강의 침입에 맞서 민족 문학으로서의 사명을 다해야만 했던 중요한 시기이다.

2. 개화기 문학의 사명
개화기에는 서구 열강의 침략에 맞서 민족의 자주권을 확립하고, 중세적 질서를 타파하고 근대적 민족 국가를 수립해야 한다는 두 가지 시대적 과제를 짊어지고 있었다. 이에 발맞추어 문학에서도 몇 가지 과제가 제시되었는데 그것은 첫째, 근대적 민족 문학을 수립해야 했으며, 둘째로는 이전의 우리 문학의 전통을 창조적으로 게승하면서 현대 문학으로 전환하는 것이었다.

3. 특징
⑴ 문어체 문장에서 언문 일치에 가까운 문장으로 바뀐다.
⑵ 자주 정신의 각성으로 개화 계몽 사상이 주류를 이룬다.
⑶ 시가에서는 창가와 신체시, 산문에서는 신소설과 역사 전기 문학, 개작 번안 소설, 무서명(無署名) 소설이 나타난다.

4. 창가
개화기에 유행했던 가사로 과거의 3.4조나 4.4조의 가사 형식을 그대로 답습하였으나 거기에 찬송가나 민요의 형식을 받아들였다. 개화 계몽 사상, 애국 독립 정신의 고취, 정치 및 사회 비판을 그 주요 내용으로 했으며 근대시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양식이라는 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 이용우의 [애국가]와 이중원의 [동심가] 등이 대표적이다.

5. 신체시
개화기에 쓰여진 새로운 시가 형태로 신시라고 부르기도 한다. 古詩歌나 개화 가사, 창가의 정형적 율격에서 벗어나 시문체(時文體 - 새 시대와 새 사회의 분위기를 수용한 문체)로 문명 개화를 노래했다. 따라서 그 형태상으로도 정형률과 반복적 리듬을 지양하고 구어체를 사용했으며, 개화 사상 신교육 고취 남녀 평등 사상 자주 독립 등 계몽적 내용이 주류를 이루었다. 창가와 마찬가지로 근대시로 가는 과도기적 형태라는 문학사적 의의를 갖는데, 최남선의 [海에게서 소년에게]가 그 첫 작품이다.

6. 신소설
개화기에 성행했던 계몽 문학의 하나로 고대 소설과 현대 소설을 잇는 과도기적 소설 양식이지만 작품 구조상으로는 새로운 것이 별로 없으므로 고대 소설의 연장선상에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 구습 타파, 자주 독립, 신교육 권장, 자유 연애 등이 주제로 나타나지만 인물의 정형성, 우연성의 남발, 권선징악적 요소 등은 신소설의 한계점으로 지적된다.
대표작으로 이인직의 [혈의 누], [치악산], [귀의 성], 안국선의 [금수회의록], 이해조의 [자유종], [모란병], 최찬식의 [추월색] 등이 있다.

♣ 개작 소설
[이해조의 작품] 옥중화(獄中花) ← 춘향전, 연의각(燕의 脚) ← 흥부전
강상련(江上蓮) ← 심청가, 토의간(兎의 肝) ← 토끼전

7. 역사 전기 문학
외세의 침략에 맞서 국권을 회복하고 자주권을 확보하기 위해 그 근거를 역사와 위인 전기에서 꿀어왔다. 역사 전기 문학의 신소설의 친일적인 경향과는 달리, 비록 소설적인 심미적 요소는 빈약하지만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에 당면하여 민족주의적 저항의 문학으로서 주못할만한 가치를 지녔다. 대표적인 작품에 신채호의 [을지문덕], [이태리 건국 삼걸전] - 마찌니 가리발디 카부르, 장지연의 [애국부인전] - 잔다크, 우기선의 [강감찬] 등이 있다.

8. 창극
판소리는 이 시기에 들어와 상층 지향적인 전통적인 판소리와 일반 대중들의 흥미를 끌기 위한 연극적 요소가 가미된 창극의 두 가지 형태로 전개된다. 창극은 판소리를 分唱하여 배역을 나누어서 대화창으로 공연하는 극으로 원각사, 연흥사 등의 극장에서 [춘향가], [심청가], [은세계] 등이 공연되었다.

9. 신파극
일본 신파극을 국내에 이식한 것으로 재래의 형식과 전통을 깨뜨리고 창극의 테투리를 벗어나서 현대의 세상 풍속과 인정 비화 등을 제재로 한 통속적인 연극이다. 따라서 그 형식이나 내용에서 일본 특유의 성향을 짙게 나타냈다. 가부끼에서 물려받은 과장된 표현을 즐겨 사용하고, 불합리한 사회 구조에서 빚어지는 인권 유린에 자학적인 눈물로 대응하는 점이 그렇다고 할 수 있다. 1911년 임성구가 일본 신파극의 번안인 [불효천리]를 처음으로 공연했을 때에는 커다란 실패를 초래했지만 이후 일제의 적극적인 책동으로 인해 신파극은 곧 크게 관객을 확보하게 된다. 신파극은 일제를 위해 봉사하는 연극이었으며 공연 방식과 내용이 유치하고 저열했다. 줄거리를 대강 정해 놓고 주연 배우가 즉석에서 연극을 이끌어가면서 과장된 몸짓과 부자연스러운 목소리로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육혈포강도], [장한몽] 등이 인기를 누렸다.



6)1910~1920년대 문학

현대 문학의 태동기(1908~1919)



1. 문학사(文學史)

이 시기는 일제 강점기로서 민족 의식이 제고(提高)되던 때이다. 신문학의 흐름이 계속되면서도 서구 문학의 충격을 흡수하면서 새로운 기법과 의식을 담은 현대 문학이 출현하였다. 민족 계몽 의식을 주제로 한 문학이 등장하였으며, 서구 문학의 기법과 의식이 수용되었다. 또, (태서 문예 신보)를 통하여 서구 문예 사조가 소개되기 시작하였다.



2. 특징

(1) 신체시와 자유시가 등장하였다.

1908년 최남선에 의하여 '해에게서 소년에게'라는 신체시가 등장하였으며, <태서 문예 신보>에 김억의 '봄은 간다', 1919년 주요한의 '불놀이'가 발표되면서 자유시가 등장하게 되었다.



(2) 현대 소설이 등장하였다.

1917년 이광수의 장편 소설 '무정(無情)'이 <매일 신보(每日申報)>에 연재되면서 본격적인 현대 소설의 문이 열렸다.



(3) 신극 운동이 전개되었다.

1908년에 극단 '원각사'의 출현으로 신극 운동이 막을 올린 후 '혁신단', '문수성' 등의 극단이 잇달아 창단되면서 초보적인 신극 운동이 전개되었다.



(4) 2인 문단 시대가 열렸다.

이 시기는 육당 최남선과 춘원 이광수에 의해 문학 활동이 주도되어 2인 문단 시대라고 한다.



3. 문학의 양상

(1) 시(詩)

1) 특징

① 서구의 시를 번역 소개하였으며, 김억, 황석우 등이 프랑스의 상징시를 번역 소개하였다.

② 주요한, 김억 등이 자유시를 창작, 하나의 시 형태로 정차시켰다.



2) 내용

계몽성과 비 예술성에 의존한 초기의 신체시에서 벗어나 개인의 정서를 주로 읊었다.



3) 작가와 작품

주요한외 '불놀이', 김억의 '겨울의 황혼' 등이 있다.



(2) 소설(小說)

1) 특징

현대 소설이 이광수에 의해 확립되었다.

① 언문 일치에 가깝다.

② 사건, 인물의 묘사가 사실적이다.

③ 내용상 계몽성(신교육, 자유 연애 등)을 띄었다.



(3) 희곡(戱曲)

1) 특징

① 신파극이 주류를 이루었지만, 초보적인 수준의 신극도 등장했다.

② 개인의 내면적 갈등을 다룬 작품이 발표되기도 했다.



2) 작가와 작품

최초의 창작 희곡인 조중환의 '병자 3인(1912)', 윤백남의 '운명', 이광수의 '귀환' 등이 발표되었다. 혁신단의 '육혈포 강도', 문수성의 '장한몽' 등이 공연되기도 했다.



현대 문학의 모색기(1919~920년대 말)



1. 문학사(文學史)

3.1 운동, 좌익 이데올로기의 등장, 본격적인 서구 문예 사조의 유입 등이 문학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3.1 운동의 실패로 민족적 좌절을 겪었으나 일제가 '문화 정치'로 전환함으로써 1920년 <조선 일보>와 <동아 일보>가 창간되었고, <창조>, <백조>, <개벽> 등 동인지와 종합지가 간행됨으로써 문학의 저변이 확대되떴고 전문 문학인의 등장으로 문학적 기반이 확립되었다.



2. 특징

(1) 본적적으로 현대 문학이 모색되었다.

현대 문학의 다양한 경향을 실험하고, 새로운 기법을 시도하면서 새로운 현대 문학을 모색했다.

(2) 예술로서 문학을 추구했다.

문학을 계몽의 수단으로부터 분리시켜 예술 본연의 문학으로 위상을 정립시켰다. 이 시기의 전반기에는낭만주의의 경향이었으나, 후반기에는 이를 극복하고 현실을 객관적으로 인식하려는 사실주의의 경향을 보였다.

(3) 계급 문학이 대두하고 국민 문학파가 등장하였다.

좌익 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신경향파'가 등장하자, 민족주의에 바탕을 두고 우리의 전통을 계승하고자 하는 '국민 문학파'가 등장하여 '신경향파'를 계승한 '카프'와 대립하였다.



3. 문학의 양상

(1) 시(詩)

1) 특징

① 서구의 여러 문예 사조가 도입되어 다양하게 창작되었다.

② 개인적 정서와 민족적 율조를 깊이 있게 결합시켰다.

(예) 만해 한용운과 김소월의 경우

③ 동인지의 출간을 통해 문단이 형성되고 각기 다른 유파를 형성하였다.

④ 20년대 중반 이후 계급주의 시가 등장하였고 이에 대항한 민족주의 문학이 대두되었다.

※ 계급주의 시는 매우 거친 언어를 사용한 약점은 있으나, 당대 현실의 문제를 수용하여 시의 영역을 넓혔다는 점에서 문학사적으로 가치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⑤ 시조 부흥 운동이 전개되었다. 최남선, 이병기, 정인보, 이은상 등에 의해 현대 시조의 길이 열렸다.


ㅡ 계속 ㅡ
추천5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빈여백동인 목록

Total 533건 1 페이지
빈여백동인 목록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추천
533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817 2008-05-23 8
532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704 2006-07-22 0
531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08 2006-10-20 0
530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94 2008-11-17 6
529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69 2006-09-28 0
528
우리의 삶 댓글+ 8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67 2006-12-07 2
527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49 2006-09-21 0
526
Ganglion  ㅡ 4 댓글+ 10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37 2006-08-23 0
525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32 2006-09-29 1
524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38 2007-01-31 13
523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20 2008-01-08 9
522
봄 소식 댓글+ 9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0 2007-01-03 2
521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74 2006-12-20 0
520
억새의 춤 댓글+ 8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69 2006-11-22 0
519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37 2007-12-14 3
518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20 2006-09-27 0
517
수험준비 댓글+ 16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 2007-02-12 0
516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42 2007-03-21 1
515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32 2006-11-23 0
514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7 2006-10-10 0
513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2 2007-07-25 4
512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94 2006-07-24 0
511
메밀꽃 댓글+ 8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62 2006-10-11 0
510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22 2008-09-13 2
509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3 2007-08-13 11
508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85 2007-02-02 2
507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7 2006-08-25 0
506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9 2007-07-27 3
505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56 2007-09-21 5
504
목표를 향하여 댓글+ 10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51 2006-09-06 0
503
김장과 삼겹살 댓글+ 11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76 2008-11-11 5
502
뙤약볕 아래 꽃 댓글+ 4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42 2007-07-30 4
501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34 2008-09-13 8
500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8 2007-03-01 3
499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6 2008-07-04 5
498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3 2007-07-01 2
497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99 2008-08-20 3
496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96 2007-05-28 7
495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89 2007-05-21 5
494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82 2007-07-10 11
게시물 검색
 
[02/26] 월간 시사문단…
[08/28] 토요일 베스트…
[07/03] 7월 1일 토…
[04/28] 5윌 신작시 …
[11/09] 2022년 1…
[08/08] 9월 신작 신…
[08/08] 9월 신작 신…
[06/29] -공개- 한국…
[06/10] 2022년 ◇…
[06/10] 2022년 ◇…
 
[12/28] 김영우 시인님…
[12/25] 시사문단 20…
[09/06] 이재록 시인 …
[08/08] 이번 생은 망…
[07/21] -이번 생은 …
 
월간 시사문단   정기간행물등록번호 마포,라00597   (03924)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54길 17 사보이시티디엠씨 821호   전화 02-720-9875/2987   오시는 방법(-클릭-)
도서출판 그림과책 / 책공장 / 고양시녹음스튜디오   (10500) 고양시 덕양구 백양로 65 동도센트리움 1105호   오시는 방법(-클릭-)   munhak@sisamundan.co.kr
계좌번호 087-034702-02-012  기업은행(손호/작가명 손근호) 정기구독안내(클릭) Copyright(c) 2000~2024 시사문단(그림과책).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