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오시는 방법(-클릭-) 회원가입은 이곳으로 클릭++^^ 시작페이지로 이름 제목 내용

환영 합니다.  회원가입 하시면 글쓰기 권한이 주어집니다.

회원 가입하시면 매번 로그인 할 필요 없습니다.

기행수필/철길 따라 오르는 마차산

페이지 정보

작성자 :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 댓글 3건 조회 1,362회 작성일 2006-04-24 06:37

본문

 
마차산 하면 말(馬)과 상관있는 산으로 생각하겠지만 사실은 북쪽으로 뻗어 가는 산맥이 이 산에서 끝났다하여 마친산 이라 불렀던 것이 오랜 세월이 지나면서 마차산이라 부르게 되었다. 구의 전철역에서 한 시간쯤 달려 의정부에 도착하면 매시 20분에 출발하는 신탄리행 경원선 열차를 요금 1200원을 주고 매표후 새롭게 단장된 통일호에 탑승하고 27분쯤 달리면 동두천역을 지나 동안역에 도착한다. 금년 말까지 의정부행 전철을 동안역까지 연장 운행을 위해 한 참 공사중이다. 의정부에서 출발하던 열차가 이 곳에서 출발하게 됨으로 선로와 역사가 웅장하게 공사중이다.

몇 년전만해도 일개 간이역에  불과했던 역이였다.  2,3일 날씨가 궂더니 오늘은 해맑은 날씨에 한 낮엔 섭씨 19도까지 오른다하니 반갑고 야외 활동에 좋은 날씨다. 동안역을 빠저나와 왼쪽으로 건너가는 임시 구름다리를 지나 십분쯤 걸어가 안흥교를 건너 신흥고교 앞을 지나면 저 앞에 십자가  건물이 보이는데 바로 동두천 기도원이다.(미디안,또는 그리심수양관)

군대 막사같은 여러 동의 건물 사이로 들어가  산기슭에 원두막처럼 생긴 휴식장소에서 본격적인 산행 준비를 위해 겉옷을 접어 배낭에 넣고 스틱을 펴고 신발끈을 조이고 장갑을 낀후 선그라스를 쓰고(차양및 안전) 물 한모금을 먹은 후 첫 발을 내디뎠다. 원래 기도원 정문 우측에 임도를 따라 오르는 등산로가 있지만 정상으로 직등 하려고 이 코스를 택하였는데 해 묵은 낙엽이 두껍게 쌓이고 낡아빠진 리본 한 두개가 달려있는 아주 불분명한 길이였다.
가파르기도해서 상당한 시간이 걸렸고 특히 마차산 진입로 고도가 20 메타로 정상까지 588.4 메타를 가감없이 올라야한다. 한시간 반 예상한 것이 두시간 경과후 도착했다. 올라오면서 두군데가 암석이 가로막아 길을 찾느라 애를 먹었다. 정상에는 588.4메타라는 조그마한 정상 표지가 있었고 그 뒤로 동두천 시내가 드넓게 펼처있으며 정상은 큰 암석이고 까마득한 절벽을 이루고 있었다. 동서남북으로 막힘이 없는 조망이 훌륭한 산이였다.
단독산행에 나선 오십대 남자 등산객과 간단한 정보를 주고 받은후 헬기장을 뒤로하고 하산길에 접어들었다. 건너편 소요산을 마주보고있는 마차산에는 봄이 한창이다 . 진달래가 울긋불긋 피여있고 산벚꽃이 피여나고 산수유는 노랗고 여러 나무들이 뾰족하게 잎을 내밀고 있는 것이 신비스럽고 귀엽게 보였다. 지금 4월 하순으로 접어들었는데 북쪽으로 갈수록 새롭게 피여나는 꽃과 잎은 나에게 새봄을 꽤나 오랫동안 보여주고있는 것이다. 510봉을 지나 일명 댕댕이 고개(소방119표지있음) 우측으로 난 길을따라 계곡으로 내려섰다. 밑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땀이 마르고 햇볕은 따듯했다. 넓다란 개활지에 산꽃이 만발했고 꼭 마을 어귀에 들어선것 같이 안윽했다.

버려진 밭을 몇개 지나고 좔좔흐르는 계곡물에 손을 씻으니 차갑고 미끄러웠다. 양갈래 계곡물의 합수점을 지나고 소망 기도원에 도착하였다. 이 기도원은 일자식 건물로 칸칸이 되여 있는것 같다. 꽤 넓은 주차장도 보였다. 마차산 산행은 기도원으로  시작해서 기도원으로 끝나는 것이다. 역으로 시작을해도 마찬가지이다. 시계를 보았더니 역시 두시간 정도 소요되었다. 속도만 주장할 것이 아니라 자연과 함께한다는 것도 중요하다고 본다. 
소요산역으로 걸어가다가 소요산 기슭에 둥근 모양의 커다란 건물이 있어 무엇인가    했더니 동두천시에서 세운 "자유수호 평화 박물관" 이였다. 소요산역에서 배부하는  소책자를 살펴 봤더니 8만 동두천 시민은 6.25 전쟁의 참상과 나라를 지키기위해 희생하신 국군과 유엔군의 고귀한 정신을 기리고 전 세계에 널리 알려 민족상잔의 비극이 되풀이 되지 않도록하고 고귀한 참뜻을 영원히 간직하고 한편 후손에게 전하고자하는 취지에서 건립했다한다.
용산에있는 전쟁기념관의 축소판이지만 그 뜻을 우러러 볼만하며 특히 전방이 가까운 이곳 시민의 투철한 안보정신을 엿볼 수 있었다.  소요산역에서 의정부로 가는 열차를 탔더니 웬 승객이 많은지 어리둥절 했다. 요 몇년 사이 승객이 부쩍 늘었나싶다. 노령층이 많았는데 등산객, 산나물채취, 젊은날의 전방 추억 등, 여러 부류의 승객인것 같았다.

신탄리행 경원선 열차를 타고 오를 수 있는 산은 동안역에서 오르는 마차산, 소요산역에서 오르는 소요산, 초성리역에서 갈 수 있는 종현산이 있고 종착역인 신탄리에서 오를 수 있는 고대산이 있는데 오늘까지 경원선 철로변의 산을 모두 다녀오게 된 것이다.   

 

           
 
 
   
추천0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정영희님의 댓글

정영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선생님 덕분에 여기저기 봄산 산꽃을 다 보고 왔네요.
산을 찾는다는 것
베낭에 간단한 식품 넣고 소풍가는 기분 아주 신날 듯 합니다.
저는 집 뒤에 작은 동산이 있어 가끔 그곳에 올라 기분전환을 한답니다.
 

전광석님의 댓글

전광석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요즘 산행 좋은 절기입니다
기차로 갈수있는 산이 참 많은데 모두다 가셨으면 ...부럽습니다
산행은 좋아합니다만 직업상 여건이 허락을 않내요
시인님 덕분에 한 코스는 잘 구경 했습니다...감사합니다.

손갑식님의 댓글

no_profile 손갑식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저로서는  허락치않는 시간으로 아직 산행을 해본 경험이 없습니다,
겨우 치악산  그리고 동네 산에 올라 약초며 나물캐는 정도의 산오름 뿐입니다,,,

빈여백동인 목록

Total 244건 3 페이지
빈여백동인 목록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추천
164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57 2007-06-07 0
163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51 2006-12-30 0
162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42 2007-05-26 0
161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21 2007-03-05 0
160
미지의 세계 댓글+ 5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8 2007-08-03 2
159
비바람 치는 날 댓글+ 2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2 2007-04-13 0
158
무슬 마을 댓글+ 7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65 2006-08-21 0
157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64 2007-07-30 1
156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49 2007-02-03 2
155
오지 않는 그대 댓글+ 3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30 2007-06-11 0
154
험한 길 댓글+ 5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26 2007-05-04 0
153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22 2007-05-19 0
152
산성 십릿길 댓글+ 2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3 2007-05-23 0
151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94 2007-05-14 0
150
침 묵 댓글+ 3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94 2007-05-18 0
149
아비의 지갑 댓글+ 3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89 2007-05-20 0
148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85 2007-05-09 0
147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82 2007-10-16 0
146
소 유 욕 댓글+ 5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77 2007-01-25 3
145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74 2007-08-22 0
144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72 2007-05-17 0
열람중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63 2006-04-24 0
142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62 2006-09-23 0
141
두타산 길 댓글+ 8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60 2006-10-03 0
140
초원의 별 댓글+ 3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56 2007-04-17 0
139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53 2006-08-01 0
138
공 간 댓글+ 3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53 2007-02-06 0
137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48 2007-10-10 0
136
겨울 갈대 댓글+ 3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46 2006-12-14 0
135
산행 일지 댓글+ 6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45 2006-04-18 4
134
슬픈 일 댓글+ 5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44 2007-03-29 0
133
와룡산의 오후 댓글+ 1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43 2006-05-22 0
132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36 2007-10-23 0
131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26 2007-04-25 0
130
일 영 표 댓글+ 4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22 2006-12-26 0
129
하얀 운동화 댓글+ 5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21 2006-07-26 0
128
3월이 오면 댓글+ 1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8 2007-03-19 0
127
산 꽃 댓글+ 7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0 2006-04-15 0
126
빗 소 리 댓글+ 2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3 2007-05-12 0
125
사모 바위 댓글+ 2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3 2007-01-02 0
게시물 검색
 
[02/26] 월간 시사문단…
[08/28] 토요일 베스트…
[07/03] 7월 1일 토…
[04/28] 5윌 신작시 …
[11/09] 2022년 1…
[08/08] 9월 신작 신…
[08/08] 9월 신작 신…
[06/29] -공개- 한국…
[06/10] 2022년 ◇…
[06/10] 2022년 ◇…
 
[12/28] 김영우 시인님…
[12/25] 시사문단 20…
[09/06] 이재록 시인 …
[08/08] 이번 생은 망…
[07/21] -이번 생은 …
 
월간 시사문단   정기간행물등록번호 마포,라00597   (03924)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54길 17 사보이시티디엠씨 821호   전화 02-720-9875/2987   오시는 방법(-클릭-)
도서출판 그림과책 / 책공장 / 고양시녹음스튜디오   (10500) 고양시 덕양구 백양로 65 동도센트리움 1105호   오시는 방법(-클릭-)   munhak@sisamundan.co.kr
계좌번호 087-034702-02-012  기업은행(손호/작가명 손근호) 정기구독안내(클릭) Copyright(c) 2000~2024 시사문단(그림과책).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