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오시는 방법(-클릭-) 회원가입은 이곳으로 클릭++^^ 시작페이지로 이름 제목 내용

환영 합니다.  회원가입 하시면 글쓰기 권한이 주어집니다.

회원 가입하시면 매번 로그인 할 필요 없습니다.

동지인 아들에게!

페이지 정보

작성자 : 한미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 댓글 9건 조회 1,031회 작성일 2008-01-08 11:21

본문

아들아!
너의 첫과제물을 읽어 보았어.
참신하게 썼더라, 내가 기대한 것만은 못하지만,
항상 너무 많은 것을 기대하는 엄마를 용서해주기 바래 .

그래! 먼저  네가 대학에 합격한 것을 축하하고,
수시모집에 합격을 해서
이 방학동안 수업을 신청해서 학점을 이수하기 위해 열심히 캠퍼스를 누비고
책을 읽는 모습을 보며 참 든든한 마음 가득하단다.

문학이라는 길을 같이 걷는 동지가 생겨서 엄마는 참 든든하고
어떤 유혹이 오더라도, 처음 네가 가졌던 참신한 마음 변치말고
조금씩은 구부려가며 절충하며 정반합의 삶을 꾸려나가리라 믿어본다.

이 아침!
엄마는 참 감사한 마음 가득 담아 되뇌어본다.
" 내가 무슨 복이 많아, 이런 휼륭한 아들을 선물로 받았을까?"

( 인문학의 미래와 전망에 관한 아들의 생각)
인문학은 다른 학문들과 경계의 기준을 나누기가 힘든 학문이다.
생각을 곰곰이 해봤지만 인문학의 특성을 적절하게
 표현할 말을 찾지 못해서 네이버 백과사전에 검색해보았다.
그러자 인간과 인간의 문화에 관심을 갖는 학문분야라는 답이 나왔다.
많은 사람들은 인문학에 위기가 찾아왔다고 말을 한다.
인문학의 힘이 약해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를 들자면,
요즘에는 한 인문학 교수가 인문학은 학문이므로 시장에 휘말려서 빛이 퇴색되면 안 된다는 말과,
인문학이 잘 풀려야지 돈이 잘 벌린다는 말을 한다고 한다. (얻어옴: 한국일보, 고종석 기자)
인문학은 조선시대에도 중시했고, 근대화가 된 이후에도 무시 하지 않았다.
그러나 요즘에는 서울대에서 조사한 기초학문 단과대학의 모습을 보여주는 기사에서도 볼 수 있듯,
인문대학이 법대를 비롯한 다른 단과대학으로 이동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고 한다.
 (얻어옴: 동아일보, 정옥자 서울대 교수)

우리 주위에서도 예를 찾아볼 수 있다.
 예전에는 낭만이 살아있었는데 요즘에는 다들 실속만 따지지 낭만은 죽어버렸다고 한숨을 쉬는 사람들도 있고,
문학을 공부하는 청소년들이 백일장에 나갔을 때, 꽤나 많은 수가 자신의 적성과는 관계없이 단지 상을 타기 위해,
대학에 들어가는데 조금이나마 유리할 수 있도록 소설보다는 시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순수문학을 하는 경우는 드물고, 대다수가 돈이 되는 방향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현실이다.
옛날에는 인간의 마음을 ‘순수하게’ 연구하는 것을 멋지게 여기고,
돈 같은 실질적인 가치에 연연하는 것을 추하게 여겼을지 모른다. 하지만 요즘에는 세상이 달라졌다.
다들 어떤 이야기만 나오면 돈 이야기로 연관짓고, 청소년들은 나이에 맞지 않는 고민거리인 집값 걱정을 하며,
로또나 터지라고 농담을 하니까.
이런 세상에서 실속을 따지지 않았다간 더 이상 인문학의 발전은 없을 것이다.
그래도 사람들이 너무 돈만 따진다면 우울한 세상이 될 테니까,
인문학부의 사람들이 사람의 마음을 실속을 따지면서 열심히 연구해야 밝은 미래가 올 것이다.
그렇다. 생각해보니 참고한 두 지문을 쓴 전문가들도 이런 말을 하고 있는 것 같다.
세상의 흐름에 발을 맞춰야 인문학의 발전이 있을 거라고 말이다.

얻어옴의 출처:
네이버를 검색하다보니 지식인 쪽에서 이 논술 지문을 찾게 되었습니다.
http://kin.naver.com/knowhow/entry.php?d1id=10&dir_id=10&eid=YReChL6MRQre8BWT9TsFo0cEIf/I7imF&qb=wM65rsfQ

http://blog.naver.com/shleekh.do
추천8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한미혜님의 댓글

한미혜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장대연시인님!
같이 공감해 주심에 감사를 드립니다.
저는 81년도에 특수교육을 전공했는데
그 때 저희동지들의 생각은 밥은 굶어도 이 일은 꼭 내가 해야한다는
사명감으로 25년을 걸어 온 것 같습니다.
참 부러워하는 지금의 특수교사의 자리가
지금은 저를 참 부자로 만들어 주었답니다.
그 곳 자연속에 계신 시인님을 떠올립니다.
마음이 파래집니다

전 * 온님의 댓글

전 * 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ㅎㅎ  우선,  아드님  입학  축하 드리구요,
인문학이  이제  대접받는 날이  곧  올것입니다.
세상은(역사)  늘  돌고  도는  것이니까요.
삶의  근본이  인문학에  있지  않나요?ㅎㅎ

열심히,  바르게,  삽시다..ㅎㅎㅎ

고윤석님의 댓글

고윤석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특수 교사라는 자리가 결코 쉬운 자리는 아닐텐데 묵묵히 25년간 자아성취를 하면서,
지금에 이르러 마음의 부자가 되셨다는 이야기를 들으니 마음이 뭉클하군요.
더욱 더 부단히 노력하시면 뜻대로 모든 일 되리라 확신합니다..행복하세요..

김성재님의 댓글

김성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먼저, 아드님의 대학입학을 축하합니다.
어떤 학문분야이든 세상의 흐름을 적절하게 반영할 수 있을 때
더욱 빛이 나겠죠. 모든 게 어짜피 세상일이니까요.
감사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김순애님의 댓글

김순애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아드님의 입학을 축하 드리고
 든든한 그러나 엄마를 능가 할 인문학에 능통하고 정통성을 발휘 할
동지를 곁에 두심을 부러워도 해 봅니다

이월란님의 댓글

이월란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한미혜 시인님.. 아드님의 대학입학을 축하드립니다.
한 가족 안에 꿈의 동지가 있다는 건 참으로 행복한 일입니다.
고운 마음, 고운 글로 늘 행복한 가정 되십시오..

목원진님의 댓글

목원진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우리들의 싱싱한 젊은 동지의 탄생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가족의 입시에는 가족이 더 조마조마 맘 서리는데, 멋지게 합격하심을
아울러 같이 기뻐하고 있습니다. 우리 먼저 가는 사람이 좋은 본보기를 하여야 하겠습니다.
올해는 기어코 다시 상면할 것을 상상하면서 그날이 올 때까지 온 가족님 들 건강하시기를 기원합니다.

빈여백동인 목록

Total 21,441건 41 페이지
빈여백동인 목록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추천
19841
기억의 그림들 댓글+ 8
최애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73 2007-11-27 8
19840
정삭 (正朔) 댓글+ 8
김성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9 2007-11-28 8
19839
*겨울 소나무* 댓글+ 7
장대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87 2007-11-28 8
19838
The song of the wind 댓글+ 10
김영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75 2007-12-04 8
19837
* 안개비 * 댓글+ 9
장대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91 2007-12-06 8
19836
지금은 유세 중 댓글+ 8
금동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6 2007-12-06 8
19835
겨울 가는 길 댓글+ 8
전 * 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62 2007-12-13 8
19834
coffee 댓글+ 9
장대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76 2007-12-13 8
19833 이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715 2007-12-14 8
19832
자정 (子正) 댓글+ 8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9 2007-12-17 8
19831 전 * 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77 2007-12-19 8
19830
완전범죄 댓글+ 8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2007-12-20 8
19829 no_profile 편집부-O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70 2007-12-22 8
19828
무서운 여자 댓글+ 8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87 2007-12-30 8
19827
* 새해 일출 * 댓글+ 9
장대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06 2008-01-01 8
19826 현항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8 2008-01-02 8
19825
나팔수 댓글+ 8
한미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80 2008-01-04 8
열람중 한미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2 2008-01-08 8
19823
* 고드름 * 댓글+ 8
장대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49 2008-01-08 8
19822 금동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70 2008-01-08 8
19821
茶道(다도) 댓글+ 7
고윤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21 2008-01-09 8
19820 이순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82 2008-01-09 8
19819
어머니 댓글+ 8
최승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67 2008-01-10 8
19818
불씨 댓글+ 8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75 2008-01-10 8
19817
겨울 땅거미 댓글+ 7
정유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74 2008-01-11 8
19816
폭설 댓글+ 7
유철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59 2008-01-11 8
19815
양치기 소년 댓글+ 8
한미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63 2008-01-12 8
19814 이순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56 2008-01-12 8
19813
깡깡 언 강에서 댓글+ 8
no_profile 윤시명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62 2008-01-13 8
19812
아름다운 인생 댓글+ 8
고윤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09 2008-01-13 8
19811
댓글+ 8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9 2008-01-14 8
19810
너는 댓글+ 8
정유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42 2008-01-14 8
19809 전 * 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 2008-01-15 8
19808
겨울농가 댓글+ 7
강현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7 2008-01-16 8
19807
* 거울 앞에서 * 댓글+ 8
장대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77 2008-01-17 8
19806
하늘의 별 댓글+ 9
금동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81 2008-01-17 8
19805
아가 웃음 댓글+ 8
김성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74 2008-01-19 8
19804
숲에서 이별 댓글+ 8
박정해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161 2008-01-19 8
19803 no_profile 손근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78 2008-01-20 8
19802
詩는 나의 연인 댓글+ 9
no_profile 손근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81 2008-01-21 8
게시물 검색
 
[02/26] 월간 시사문단…
[08/28] 토요일 베스트…
[07/03] 7월 1일 토…
[04/28] 5윌 신작시 …
[11/09] 2022년 1…
[08/08] 9월 신작 신…
[08/08] 9월 신작 신…
[06/29] -공개- 한국…
[06/10] 2022년 ◇…
[06/10] 2022년 ◇…
 
[12/28] 김영우 시인님…
[12/25] 시사문단 20…
[09/06] 이재록 시인 …
[08/08] 이번 생은 망…
[07/21] -이번 생은 …
 
월간 시사문단   정기간행물등록번호 마포,라00597   (03924)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54길 17 사보이시티디엠씨 821호   전화 02-720-9875/2987   오시는 방법(-클릭-)
도서출판 그림과책 / 책공장 / 고양시녹음스튜디오   (10500) 고양시 덕양구 백양로 65 동도센트리움 1105호   오시는 방법(-클릭-)   munhak@sisamundan.co.kr
계좌번호 087-034702-02-012  기업은행(손호/작가명 손근호) 정기구독안내(클릭) Copyright(c) 2000~2024 시사문단(그림과책).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