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오시는 방법(-클릭-) 회원가입은 이곳으로 클릭++^^ 시작페이지로 이름 제목 내용

환영 합니다.  회원가입 하시면 글쓰기 권한이 주어집니다.

회원 가입하시면 매번 로그인 할 필요 없습니다.

[re] 불확실성의 현실의 꿈을 그린 -성산포의 안개(고은영 詩)

페이지 정보

작성자 : 박인과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이름으로 검색 ( 댓글 4건 조회 1,781회 작성일 2005-10-13 13:21

본문

"어느 날 밤 바다를 지키던 노인이
절벽을 타고 바다로 추락해
처참하게 죽어 갔다.
사람들은 귀신에 홀려 죽었다고 했다.
그것이 안개 때문임을 알면서도
사람들은 그것을 부정했다.-고은영의 시 '성산포의 안개' 중에서"

사람은 누구나가 자신이 믿는 어떤 절대적인 것 같은 것을 구체화 내지는
상상이나 혹은 꿈을 꿀려고들 합니다. 그리고 자신이 믿지 않는 세계는
두려움과 꺼림의 대상으로 멀리 던져버리곤 하지요.
안개인줄 알면서도 역시 그것을 부정하는 것은 자신의 범주 밖의 것을
인정하고 싶지 않은 것인, 현대인의 심리적인 방황 때문이기도 하겠지요.

성산포의 안개......

그 안개는 역시 우리 인류에게 깊게 드리워진
불확실성의 미래에 대한 꿈일 것입니다. 날마다 지구촌 곳곳에서
전혀 예측하지 못했거나 예측했어도 어쩔 수 없는 상황의 연속들이, 많은 죽음들이 아우성들이
불투명한 안개와 같이 우리의 미래를 암울하게 합니다.
아우성과 피투성이인 매스컴의 소화불량증을 경험하면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고은영님의 시 중에서 '침몰한 배가 돌아올 수 없'듯이 우리의 파괴되는
많은 문화와 영혼들은 다시는 이 땅에 돌아오지 못한다는 현실을 슬프게 생각하고 아파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이럴 때일수록 시인들은 깨어있어야 합니다.
안의 소리에 귀 기울일줄 알아야 하고
이웃과 사회의 항변의 소리들을 들을 줄 알아야 합니다.
그래서 "한 서린 등대가 목이 쉬도록 정적을 깨고 밤마다 길게 울듯이(-詩, 고은영)"
이 사회의 작은 빛이 되어 마음의 피리로 울어야 함을 생각합니다.

좋은 글 감사히 읽었습니다.
시가 있어 오늘은 좀 더 풍요로운 것 같습니다.
비록 시는 슬프지만
슬픔 속에 기쁨이 기쁨 속에 한없는 환희가
고은영 시인님의 삶을 충만히 채우기를 기원합니다.



><center><table border=5 bordercolor=222222 bgcolor=ffffff cellpadding=0 cellspacing=3><tr><td><table border=3 bordercolor=333333 bgcolor=000000 cellpadding=2 cellspacing=2><tr><td>
><CENTER><PRE><FONT color=white size=2.5>
>
>이숙호 수채화 / 성산의 아름다운 밤
>
>
> <img src=http://www.painter.co.kr/technote/board/sookho_works/upimg/996411647.jpg width=700 height=500 border=0>
>
><CENTER><PRE><FONT color=white size=2>
>
>성산포의 안개 / 고은영
>
>
>선과 악이 공존하는
>모든 담을 허물고
>어둠과 함께 안개는
>인간의 모든 구획을 묻어 버렸다.
>어떤 규칙도 담아낼 수 없는
>흉흉한 안개 골짜기
>
>밤이면 배는 안개로 침몰했다.
>침몰한 배가 돌아올 줄 모르는 것은
>안개 때문이었다.
>사람들은,
>넋이 고파 밤을 배회하는
>안개를 늘 두려워했다.
>
>시도때도없이 봄이면 그 마을은
>안개로 덮여 지천에 죽음의 냄새로
>방파제를 넘나들고 사람들이 가슴을 비비던
>어판장 깨어진 의자조차
>야금야금 집어삼켰다.
>
>어느 날 밤 바다를 지키던 노인이
>절벽을 타고 바다로 추락해
>처참하게 죽어 갔다.
>사람들은 귀신에 홀려 죽었다고 했다.
>그것이 안개 때문임을 알면서도
>사람들은 그것을 부정했다.

>봄 밤 배시시 웃는 유채꽃도 안개로 젖으면
>얼굴을 숨기고 침묵으로 일관했다.
>안개는 시간의 경계를 저울질하다 급습했다.
>삽시간에…….
>
>성산포 그 섬 같은 작을 마을은
>안개가 몰려오면 안개의 퇴적층마다
>한 서린 등대가 목이 쉬도록 정적을 깨고
>밤마다 길게 울었다.
>
>
>
></TD></TR></TBODY></TABLE></TD></TR></TBODY></TABLE>
></td></tr></td></tr></table>
>
>Omara Portuondo - Album / B.V.S.C.Presents / Veinte Anos
><EMBED src="mms://211.176.63.196/media04/123/123482.asf" hidden=true loop=-1>
>
>
추천0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손근호님의 댓글

no_profile 손근호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박인과 시인님이 [시와 의식]에 등단차가 아마 이십년을 되셨을 것입니다. 일전에 부산에서 출판사도 하셨고. 왠만 하면 칭찬을 안하시는 분인데...역시나~~

고은영님의 댓글

고은영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박인과 시인 님
우선은 감사드립니다.
부족한 글에 긴 장문의 댓글 감사드립니다.
세상을 보는 눈이 어두워 그런지
요즘은 예전에 느끼던 가슴비비는 온정이 그립습니다.
아직도 사람들은 인맥, 학연, 지연에 사로잡힌
예덴에서부터 시작된 가짜 놀이에 열중인 걸

고은영님의 댓글

고은영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봅니다.
그런 사람들의 이기와 욕심은
저도 다를바 없거니와
그런 욕심에 편승하는 자신의 사고가
종종 제게는 혼돈이자 깊은 안개라 절망스럽습니다.
그러나 소수의 선을 바라며, 희망을 키우렵니다.
정말 감사드리고 늘 좋은 글로 운문 이루시길 바랍니다.

박인과님의 댓글

박인과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손근호 시인님 칭찬해주시니 감사합니다. 제가 문단 데뷔 정말 20년입니다.
그러나 이렇다 할 작품하나 변변히 못쓰고 세월을 보내고 있는 경우이지요.
시집만 무려 6권을 냈지요.
시인의 마을에서부터 이루어진 찰떡 같은 근호님과의 우정 깊이 새기고 있습니다.

고은영 시인님, 이름만큼이나 시가 곱습니다.
서로 다른 문학적 취향과 색감이
서로의 결핍을 메꾸어 주리라 확신합니다.
그래서 이 땅은 시인이 많아야 되고
시의 열매로써 풍성해져야 하는 꿈을 항상 꾸곤 합니다.

빈여백동인 목록

Total 21,449건 43 페이지
빈여백동인 목록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추천
19769
너와 가는 길 댓글+ 1
김기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72 2005-10-12 2
19768 전승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37 2005-10-12 0
19767 박인과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이름으로 검색 1267 2005-10-12 3
19766 방정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36 2005-10-12 1
19765 방정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83 2005-10-12 0
19764
시월의 비 댓글+ 2
no_profile 임남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75 2005-10-12 0
19763 고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88 2005-10-12 0
19762 박영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67 2005-10-13 0
19761 박인과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이름으로 검색 1416 2005-10-13 0
19760 no_profile 양남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91 2005-10-13 23
19759
뚱딴지꽃 댓글+ 5
강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74 2005-10-13 6
19758 김옥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32 2005-10-13 0
19757
노란 국화꽃 댓글+ 5
김옥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44 2005-10-13 1
열람중 박인과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이름으로 검색 1782 2005-10-13 0
19755
터널 속을 걷다 댓글+ 6
윤해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5 2005-10-13 0
19754 김춘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0 2005-10-13 0
19753 no_profile 시사문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93 2005-10-13 2
19752
충혈된 눈 댓글+ 4
김진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23 2005-10-13 3
19751 김태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27 2005-10-13 3
19750
가을빛 댓글+ 5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39 2005-10-13 2
19749
어머니 댓글+ 5
주길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67 2005-10-13 7
19748 정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40 2005-10-13 3
19747 박민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42 2005-10-13 2
19746
가을 서정 댓글+ 7
오형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78 2005-10-13 10
19745
꼭 잡은 손 댓글+ 5
오형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81 2005-10-13 18
19744
내 마음속 가을 댓글+ 5
강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62 2005-10-14 3
19743 박인과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이름으로 검색 1402 2005-10-14 0
19742
부부의 일생 댓글+ 4
최상효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이름으로 검색 1415 2005-10-14 0
19741 no_profile 임남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36 2005-10-14 0
19740 고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7 2005-10-14 0
19739 김기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32 2005-10-14 5
19738 김영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72 2005-10-14 0
19737
사별(死別) 댓글+ 5
박기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40 2005-10-14 0
19736 no_profile 손근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49 2005-10-14 0
19735 전승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83 2005-10-14 1
19734
온점과 마침표 댓글+ 4
박기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41 2005-10-14 0
19733
갈대의 울음 댓글+ 6
고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57 2005-10-15 0
19732 김기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87 2005-10-15 0
19731 박인과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이름으로 검색 1433 2005-10-15 0
19730
어머니 생각 2 댓글+ 4
강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91 2005-10-15 0
게시물 검색
 
[02/26] 월간 시사문단…
[08/28] 토요일 베스트…
[07/03] 7월 1일 토…
[04/28] 5윌 신작시 …
[11/09] 2022년 1…
[08/08] 9월 신작 신…
[08/08] 9월 신작 신…
[06/29] -공개- 한국…
[06/10] 2022년 ◇…
[06/10] 2022년 ◇…
 
[12/28] 김영우 시인님…
[12/25] 시사문단 20…
[09/06] 이재록 시인 …
[08/08] 이번 생은 망…
[07/21] -이번 생은 …
 
월간 시사문단   정기간행물등록번호 마포,라00597   (03924)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54길 17 사보이시티디엠씨 821호   전화 02-720-9875/2987   오시는 방법(-클릭-)
도서출판 그림과책 / 책공장 / 고양시녹음스튜디오   (10500) 고양시 덕양구 백양로 65 동도센트리움 1105호   오시는 방법(-클릭-)   munhak@sisamundan.co.kr
계좌번호 087-034702-02-012  기업은행(손호/작가명 손근호) 정기구독안내(클릭) Copyright(c) 2000~2024 시사문단(그림과책).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