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오시는 방법(-클릭-) 회원가입은 이곳으로 클릭++^^ 시작페이지로 이름 제목 내용

환영 합니다.  회원가입 하시면 글쓰기 권한이 주어집니다.

회원 가입하시면 매번 로그인 할 필요 없습니다.

(월평)시의 예술성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자 : 법문 박태원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이름으로 검색 ( 댓글 5건 조회 1,582회 작성일 2007-08-04 22:58

본문

시의 예술성에 관하여

              法門 박태원 (문학평론가)

예술이란 문학.음악.미술을 포괄하면서 식정(識情)의 심미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자성(自性)의 창조 활동이다. 역으로 말하면 예술 활동이란 식정(識情)을 심미적으로 관조하여 자성(自性)를 깨닫고 표현하는 작업이다.
詩는 언어로 표현하되 음악적인 리듬과 회화적인 이미지를 심도있게 형상화 한다. 詩語는 일상어와 다르지 않으나 용법에 있어서 지시적이고 개념적인 관습적 사용을 거부하고, 정서적이며 함축성을 내포하는 자연적인 언어이다. 즉 시각적이고 구체적인 감각적 언어이며 진실한 감정의 언어이다.
詩는 유기적인 구조이며 자율적인 총체이기에 詩語는 전체적인 구조와 문맥 속에 놓일 때 의미가 형성된다. 시어는 이미지.상징.은유.리듬.아이러니 등 언어의 국면들과 관련하여 신중히 선택되고 긴밀하게 조직되어 정서적 상상적 반응을 일으키고, 심미적인 공감과 심도깊은 감동을 환기시킨다.

김사빈 시인의 시 “아버지의 흰머리”를 감상해 보자
이 시의 공간과 시간적 배경은 겨울 바람이 부는 달밤의 강변, 안개비가 내리는 무성한 갈대숲이다. 이곳에서 어떤 시상이 떠 올랐던가?


“갈대꽃이/ 달빛에 젖어/ 하얀 슬픔을 흔들고 있다// 아버지의 흰머리가 거기 있다/어머니의 모시 치마가/ 스르륵 스르륵 끌리고 있다.//거기 갈대 꽃잎에/ 동쪽을 향해 앉은 세월이 있었다.//죽음 저편 생명은 잉태되어 안개비를 안고 있었다./”


시인은 갈대숲의 풍경을 시각적으로 청각적으로 묘사하되, 돌아가신 부모님을 그리워 하고 있다. 갈대꽃,달빛,안개비는 모두 하얀색으로 죽음을 상징한다. 바람을 맞아 동쪽으로 기울어진 갈대를 보고 모진 세월을 기억해 낸다. 그러나 몽실몽실 움직이는 안개비는 삶의 약동을 느끼게 한다. 삶과 죽음이라는 철학적 명제가 마음을 흔든다. 죽음 속에서 생명을 느꼈으니 삶과 죽음은 둘이 아니다.


“여기 이 자리에 누군가 앉아/ 봄을 기다리다가 떠난다 하여도// 달빛은 여전히 하얀 슬픔을 흔들고 있을 것이다/ 갈대꽃 하얀 미소는/ 다시 오마고 약속인 것이다// “


달빛과 갈대꽃은 삶과 죽음에 아랑곳하지 않고 지금 아름답게 빛나고 있지 않은가. 떠난다는 것은 다시 오겠다는 약속이라는 심도있는 예술미가 잔잔한 감동을 주고있다.


“아버지의 흰 머리/ 어머니의 모시 치마가 보이지 않아도/ 하얀 갈대꽃이 흔들리면/ 각인된 붉은 사랑은 피어나고/ 저려오는 아픔이 있다”


삶과 죽음이 둘이 아닌 것을 깨달아도 삶과 죽음에 웃고 우는 것이 인생이다. 다만 집착하지 않을 뿐이다.

전소영 시인의 시 “말라위의 분리된 영혼”을 감상해 보자.
말라위는 아프리카 동남부에 위치한 가난한 나라이다. 국민소득이 158불 밖에 안된다. 인구가 1190만명이며, 1964년 영국의 식민지 지배에서 독립하였다. 1994년 장기독재집권을 청산하고 민주국가를 이룩하였다. 현재 대통령은 무타리카 이다.
신문에서 말라위의 세살박이 어린애가 말린 생쥐와 메뚜기로 속을 넣어 만든 만두를 먹는 모습을 보고 느낀 바를 쓴 시다.


“..여며진 위장에 폭포수를 내릴 때/ 황당은 할 테지만 말라위의 만두속은 삶아 말린 생쥐와 메뚜기//…/세발낚지 돌돌 말아 볼 안에서 사망시키거나/견공들의 희열과 행복은 매질과 교수형에/있다는 우리네 인간들의 혐오와는 분리되어야 할 영혼/”


작가는 평소에 세발낚지를 통째로 씹어 먹거나, 잔인하게 처형한 개고기를 맛있게 먹는 인간들을 혐오하였다. 그런데 생쥐와 메뚜기를 먹어야 하는 말라위의 가난한 영혼은 처절한 실존의 문제로 다가온다.


“세 살 박이 아기 영혼들의 심장 안에 녹아들지 못한/ 처절한 삶의 언저리에 그저 허기짐의 대책으로/ 기다림의 실체보다 최악의 선택으로 남은 메뚜기와 생쥐”


귀여움 받고 자라야 할 어린애의 순수한 동심은 처절한 삶의 현실에 의해서 지워지고 말았다. 아기를 키워 본 어머니의 심정이 오죽 아팠을까 생각해 본다. 문명국의 힘에 정복당한 아프리카의 꿈은 어디에서 찾을까? 욕망과 세력이 난무하는 무한 경쟁의 문명세계에 꿈이 있는가. 스스로 반문해 본다. 

2007.07.24
추천0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함은숙님의 댓글

함은숙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시의 예술성에 관해서>
가만히 음미해 봅니다
죽음저편에서 잉태되는 삶,
살기위한 본능으로 먹는 식사,
평론가님의 글을 보며
오늘 하루가 편히 주어짐을 신에게 감사 드립니다
 

법문 박태원님의 댓글

법문 박태원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금동건 시인님, 함은숙 시인님
무더운 날씨에 건강하신지요.
오늘도 즐거운 날 되십시오.

전 * 온님의 댓글

전 * 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박태원 시인님!!
늘,  좋은 글로  일깨워  주시니  고맙습니다.
"이파리들의 침묵"  시평에 큰  고마움을  갖고 있습니다.
아직  변변한 인사도 못드렸지만.
더위속에  건안 하시기를......

빈여백동인 목록

Total 21,450건 430 페이지
빈여백동인 목록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추천
4290
달빛 창가에서 댓글+ 8
금동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48 2007-07-31 0
4289
주소변경 댓글+ 3
오순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3 2007-07-31 0
4288
피서철 댓글+ 5
朴明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78 2007-08-01 0
4287
나 팔 꽃 댓글+ 11
김영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6 2007-08-01 0
4286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75 2007-08-01 0
4285 no_profile 편집부-O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77 2007-08-01 0
4284
女人의 限 댓글+ 5
박효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87 2007-08-02 0
4283
시차(時差) 댓글+ 6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20 2007-08-02 0
4282 박치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 2007-08-02 0
4281
삶의 현장 댓글+ 8
금동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60 2007-08-02 0
4280 김흥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4 2007-08-02 0
4279
[사진]여름꽃들 댓글+ 5
법문 박태원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이름으로 검색 1573 2007-08-02 0
4278
광시곡(狂詩曲) 댓글+ 4
이광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27 2007-08-02 0
4277 김종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64 2007-08-03 0
4276 no_profile 편집부-O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2 2007-08-03 0
4275 한관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8 2007-08-03 0
4274 강연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2 2007-08-03 0
4273
천둥소리 댓글+ 13
윤주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26 2007-08-03 0
4272
한 여름날의 꿈 댓글+ 3
김태경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31 2007-08-03 0
4271
산을 오르며 댓글+ 7
김옥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83 2007-08-03 0
4270
십 년 재회 댓글+ 5
no_profile 황선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58 2007-08-03 0
4269
동굴 댓글+ 9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55 2007-08-03 0
4268
한강(漢江) 댓글+ 7
이광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0 2007-08-03 0
4267
댓글+ 9
朴明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 2007-08-03 0
4266 김일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2 2007-08-03 0
4265 no_profile 손근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22 2007-08-03 0
4264 이순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29 2007-08-03 0
4263
임의 입김처럼 댓글+ 5
김성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79 2007-08-04 0
4262 조성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7 2007-08-04 0
4261
미로아(迷路兒) 댓글+ 4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70 2007-08-04 0
4260 양태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22 2007-08-04 0
4259
위기의 성(性) 댓글+ 4
이광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63 2007-08-04 0
4258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0 2007-08-04 0
열람중 법문 박태원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이름으로 검색 1583 2007-08-04 0
4256 박효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86 2007-08-05 0
4255
빈 가방 댓글+ 6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7 2007-08-05 0
4254 김성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24 2007-08-05 0
4253 김복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78 2007-08-05 0
4252 이광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46 2007-08-05 0
4251 강분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443 2007-08-05 0
게시물 검색
 
[02/26] 월간 시사문단…
[08/28] 토요일 베스트…
[07/03] 7월 1일 토…
[04/28] 5윌 신작시 …
[11/09] 2022년 1…
[08/08] 9월 신작 신…
[08/08] 9월 신작 신…
[06/29] -공개- 한국…
[06/10] 2022년 ◇…
[06/10] 2022년 ◇…
 
[12/28] 김영우 시인님…
[12/25] 시사문단 20…
[09/06] 이재록 시인 …
[08/08] 이번 생은 망…
[07/21] -이번 생은 …
 
월간 시사문단   정기간행물등록번호 마포,라00597   (03924)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54길 17 사보이시티디엠씨 821호   전화 02-720-9875/2987   오시는 방법(-클릭-)
도서출판 그림과책 / 책공장 / 고양시녹음스튜디오   (10500) 고양시 덕양구 백양로 65 동도센트리움 1105호   오시는 방법(-클릭-)   munhak@sisamundan.co.kr
계좌번호 087-034702-02-012  기업은행(손호/작가명 손근호) 정기구독안내(클릭) Copyright(c) 2000~2024 시사문단(그림과책).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