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오시는 방법(-클릭-) 회원가입은 이곳으로 클릭++^^ 시작페이지로 이름 제목 내용

환영 합니다.  회원가입 하시면 글쓰기 권한이 주어집니다.

회원 가입하시면 매번 로그인 할 필요 없습니다.

통풍을 일으키는 원인

페이지 정보

작성자 : 최승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 댓글 6건 조회 2,012회 작성일 2008-06-26 09:52

본문

                            통풍을 일으키는 원인


통풍을 일으키는 원인은
  첫째로 비장에서 단백질의 한 종류인 퓨린을 잘 분해하지 못해 체내에 요산이 과도하게 생성되고 둘째로 신장에서 혈액중의 요산을 잘 걸러내지 못하는 데에 있다. 
  이는 마치 허드렛물이 더러우면 하수구가 자주 막히는 것과 같이 비장에서 먼저 제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면 이것이 신장에게도 영향을 주어 신장 또한  제 기능을 십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이다. 결국 이렇게 되어 체내에 과도하게 축적된  요산이 혈관을 타고 돌아다니다가 관절, 주로 엄지발가락과 귀 뒷쪽 관절에 침착하여 염증과 함께 심한 통증을 일으킨다. 이때의 통증이 얼마나 심한지 아플 통(痛)자를 써서 통풍이라 하지 않는가?
  통풍은 그 원인이 비장과 신장 양쪽 모두에 있으므로 치료 또한 쉽지 않다. 양방에서는 요산 제거제를 투약하여 우선 급한 불을 끄고자 하나 이는 결코 근본적인 치료수단이 될 수 없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약물로는 점점 쌓여만 가는 요산의 세력을 막을 길이 없다. 적어도 양방에서의 통풍은 불치병인 셈이다.
  앞에서 잠간 언급했듯이 통풍은 겉으로는 신장의 병이라고 말할 수 있겠지만 그 이면으로는 비장의 문제라고 보는 것이 옳다.  이렇듯 한의학에서는 어떤 질병이든 겉으로 드러난 문제점만을 제거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내부적인 문제 보다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 제거하는 데에 중심을 두고 있다.

  가정의학 책에 나와있는 음식의 분류를 보면

  엄격하게 제한해야 하는 음식으로는
 고기류의 내장(간, 위, 신장, 곱창, 막창 등), 육즙, 등푸른 생선(참치, 멸치, 청어, 정어리, 송어), 조개류(홍합,가리비), 맥주, 베이컨 등이 있고,.

  가끔 먹어도 되는 음식으로는
  고기류의 내장을 제외한 부분(소, 돼지, 닭, 오리 다 괜찮아요), 햄, 콩, 게, 가재, 굴, 새우, 버섯, 시금치

  지장 없이 먹어도 되는 음식은
  쌀, 보리, 옥수수, 국수, 탄산음료, 커피, 과일, 빵, 치즈, 달걀, 우유 등 유제품, 설탕, 토마토, 상추 등이다.

 * 단, 우유는 논란의 여지는 있고 , (퓨린의 원료가 되는.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또 원두커피처럼 카페인이나 차에 들어있는 테오브로민 등은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도 있다고 한다.

  통풍 또한 단순히 신장에서 요산을 잘 걸러내지 못하는 것만을 문제 삼아서는 안되고 오히려 비장에서 요산의 원료가  되는 단백질을 얼마나 잘 소화해내는가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다시 말하자면 통풍은 신장보다는 비장에 보다 더 무게가 실린 병인 셈이다.
  여기서 우리는 통풍 환자의 남녀 비율이 20:1 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즉 통풍은 남자의 병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다시 말해서 체질적으로 대부분의 남성들은 비장과 신장의 상호 관계 속에서 모든 인체의 기능이 이루어지고 대부분의 여성들은 폐장과 간장의 상호 작용으로  인체의 생리와 병리 현상이 일어나는바  통풍은 비장(火)과 신장(水)의 관계 곧 수승화강(水升火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생기는 질병이므로 당연히 여성에게 보다는 남성에게  많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통풍을 일으키는 주범으로 음주와 스트레스를 꼽을 수 있는데 이러한 음주나 스트레스가 비장기능이 약한 체질에게는 소화력을 더욱 더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반대로 신장기능이 약한 체질에게는 화기를 조장하여 신장기능을 더욱더 위축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비장의 화기가 약하여 양기가 잘 상승하지 못하는 체질에게는 승양익기(升陽益氣)시켜주는 약물로 치료하고 신장의 수기가 약하여 음기가 잘 하강하지 못하는 체질은 자음강화(滋陰降火)시키는 약물로 치료해야만 할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평소에 술과 기름진 음식을 자제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옛말에 조상의 은덕은 일일이 다 입을 수 없지만 공경의 덕택은 일일이 다 입는다 하였다.
  매사가 다 이러 할진데 질병을 고치는 데 있어서는 더 말할 것도 없을 것이다.

  * 저가 요즘 통풍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문우님께서 참고 하시라고 인터넷에서 찾아 퍼왔습니다.
    건강하고 즐겁고 행복한 하루 되세요.
추천6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허혜자님의 댓글

허혜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시인님 고생이 많으시겠습니다
통풍의 원인과 치료에 대한 글 잘 배우고 갑니다
통풍 치료 잘 하십시요
감사합니다.

장대연님의 댓글

장대연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그러시군요, 초시인님.
저도 엄지 발가락과 발등에 약간의 통풍 기가 있어 가끔 고생을 합니다만...
아무튼 참고가 될만한 좋은 자료 고맙습니다. 건강하십시오.

이은영님의 댓글

이은영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모든 병은 마음에서 온다지요?
하루 속히 나으실 거란 믿음이
치료에 큰 도움이 될 거라 생각됩니다.
최승연 시인님, 빠른 쾌유를 진심으로 빌겠습니다.^^*

엄윤성님의 댓글

엄윤성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저도 이제 슬슬 걱정할 나이가 되어 가는 것 같은데요, 특히 몸이 좋지 못한 저는 더욱 조심해야 할 것 같습니다.
좋을 글 잘 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빈여백동인 목록

Total 21,449건 465 페이지
빈여백동인 목록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추천
2889
꿈꾸는 나무 댓글+ 6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0 2008-05-30 6
2888
고마운 비 댓글+ 7
윤기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50 2008-05-30 6
2887 허혜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6 2008-06-02 6
2886 이순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3 2008-06-02 6
2885
죄짐바리 댓글+ 7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4 2008-06-02 6
2884
초여름 아침 댓글+ 7
엄윤성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405 2008-06-07 6
2883
그림자 댓글+ 8
김화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61 2008-06-16 6
2882
당신의 마음 댓글+ 6
최승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4 2008-06-17 6
2881 no_profile 손근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47 2008-06-17 6
2880
소갈증(消渴症) 댓글+ 8
엄윤성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750 2008-06-17 6
2879
그리움도 달다 댓글+ 6
박란경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29 2008-06-18 6
2878
벗 - 불면증 댓글+ 8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59 2008-06-21 6
2877
남강의추억 댓글+ 7
윤기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85 2008-06-21 6
2876
중지(中指) 댓글+ 7
현항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24 2008-06-22 6
2875
인연 댓글+ 7
이정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54 2008-06-23 6
2874 장대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42 2008-06-26 6
열람중 최승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3 2008-06-26 6
2872 no_profile 목영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67 2008-06-28 6
2871
부고[訃告] 댓글+ 6
no_profile 송상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81 2008-06-28 6
2870
풍습 댓글+ 7
박효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94 2008-06-30 6
2869
내고향 칠월은 댓글+ 6
탁여송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57 2008-07-01 6
2868
깨달음이란 댓글+ 11
김효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90 2008-07-01 6
2867
그리고 또 여름 댓글+ 6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69 2008-07-03 6
2866
* 소(牛) * 댓글+ 7
장대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79 2008-07-05 6
2865
소박한 사랑 댓글+ 6
박태원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이름으로 검색 1347 2008-07-06 6
2864
칠월의 풍요 댓글+ 7
금동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43 2008-07-09 6
2863 김화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60 2008-07-10 6
2862
숲길을 걸으며 댓글+ 6
김남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54 2008-07-14 6
2861
* 고약한 놈 * 댓글+ 7
장대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92 2008-07-16 6
2860
꾸부러진 오이 댓글+ 6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9 2008-07-17 6
2859 이순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81 2008-07-17 6
2858 금동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99 2008-07-17 6
2857
* 알 것 같아 * 댓글+ 6
장대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85 2008-07-20 6
2856 no_profile 손근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3 2008-07-21 6
2855
불볕더위 댓글+ 6
최승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92 2008-07-22 6
2854 방정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67 2008-07-23 6
2853
운무 댓글+ 6
장운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31 2008-07-23 6
2852
老각사랑 댓글+ 8
현항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98 2008-07-23 6
2851 전 * 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4 2008-07-23 6
2850 이순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29 2008-07-24 6
게시물 검색
 
[02/26] 월간 시사문단…
[08/28] 토요일 베스트…
[07/03] 7월 1일 토…
[04/28] 5윌 신작시 …
[11/09] 2022년 1…
[08/08] 9월 신작 신…
[08/08] 9월 신작 신…
[06/29] -공개- 한국…
[06/10] 2022년 ◇…
[06/10] 2022년 ◇…
 
[12/28] 김영우 시인님…
[12/25] 시사문단 20…
[09/06] 이재록 시인 …
[08/08] 이번 생은 망…
[07/21] -이번 생은 …
 
월간 시사문단   정기간행물등록번호 마포,라00597   (03924)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54길 17 사보이시티디엠씨 821호   전화 02-720-9875/2987   오시는 방법(-클릭-)
도서출판 그림과책 / 책공장 / 고양시녹음스튜디오   (10500) 고양시 덕양구 백양로 65 동도센트리움 1105호   오시는 방법(-클릭-)   munhak@sisamundan.co.kr
계좌번호 087-034702-02-012  기업은행(손호/작가명 손근호) 정기구독안내(클릭) Copyright(c) 2000~2024 시사문단(그림과책).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