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오시는 방법(-클릭-) 회원가입은 이곳으로 클릭++^^ 시작페이지로 이름 제목 내용

환영 합니다.  회원가입 하시면 글쓰기 권한이 주어집니다.

회원 가입하시면 매번 로그인 할 필요 없습니다.

등라(藤蘿)

페이지 정보

작성자 :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 댓글 5건 조회 886회 작성일 2008-01-21 09:46

본문

등라(藤蘿)


                                                            이 월란
 


너도 나도 등마루 곧추 세워 하늘로 솟구치는 세상
해진 앞섶으로 젖은 길 닦으며 가는 날 있었겠다
살대 하나 없이 허공을 사는 올곧은 등뼈들이 서러워
가슴 무너지는 날도 지냈겠다
휠체어같은 버팀목에 앉아야만 하는 느물대는 가닥이 억울해
심장 부서지는 날도 살았겠다
감싸 안아야만 하는 수직의 장애를 만날 때까지
해토의 시린 땅을 배로 기는 버러지가 되어
백태 낀 혓바닥으로 행인들의 발자국을 핥았겠고
바닥에 길들여져 그늘을 주우며 살아왔겠다
누군가에게 기생해야만 자라는 목숨이 버거워
누추한 영혼의 집안으로 뒤엉키기도 했었고
함부로 허공 한 줌을 침범치 못해
기진한 듯 담장에 붙들린 행로에 만족하며
울끝까지, 맘끝까지 어루만지고서야
통회하고 자복하는 겸손의 성지를 쌓았으리
한번 맺은 인연 위에 잎새의 모티브를 따라
거친 살비듬 덮어가는 저 묵언수행을 당해냈으니
햇귀처럼 뻗치는 수맥을 다독여
무수한 허공의 길을 해독하려 들지도 않고
눈 잃어 점자책 더듬듯 가로막힌 담장을
경전처럼 읽어내려 왔으리
천혜의 절벽도 타고 오를 암벽 등반가가 되어
영험한 순종의 도(道)로 벽마다 초록 문신을 새기고
넌출 덮인 담장 사이를 걸어가는 귀밝은 사람들에게
무림의 숨소리 대신 전해주는 저 숲의 압축파일
                                 
                                                      2008-01-20
추천5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김혜련님의 댓글

김혜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시의 무게가 느껴지면서 무엇인가 많은 생각을 하게 하네요. '살대 하나 없이 허공을 사는 올곧은 등뼈들이 서러워
가슴 무너지는 날도 지냈겠다', '누추한 영혼의 집안으로 뒤엉키기도 했었고/ 함부로 허공 한 줌을 침범치 못해',  '무림의 숨소리 대신 전해주는 저 숲의 압축파일' 이런 부분이 참 인상적이어서 마음에 듭니다. 좋은 시 읽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목원진님의 댓글

목원진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감싸 안아야만 하는 수직의 장애를 만날 때까지
해토의 시린 땅을 배로 기는 버러지가 되어
백태 낀 혓바닥으로 행인들의 발자국을 핥았겠고
바닥에 길들여져 그늘을 주우며 살아왔겠다.
 
같은 줄기를 뻗어가는 식물이지만, 사람의 취향에 알맞은 것은
잘리지 않고 행인의 발꿈치에 밟히게 전에 주인에 사랑받아 비료 얻고
물 받아 자라지만 모양 없고 취향에 아니든 줄기 식물은 잘리어 말라 불태워
버리네요. 동물도 식물도 주인을 잘 만나야 곱게 자라는 군아, 라고, 생각했습니다.

고윤석님의 댓글

고윤석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표현들이 너무 좋아요..눈 잃어 점자책 더듬 듯 가로막힌 담장을 경전처럼 내려왔으리...좋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정유성님의 댓글

정유성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저의 졸업작품 중에 솟대를 등라하는 칡넝굴(뱀형상)이 생각납니다.
그때는 머리 속이 온통 정리 안되는 모같은 철학으로 방황하던 때였지요.
하지만 그때 그런 젊은 혈기가 지금 그리운 것은 왜일까요.^^*
아직도 젊지만 그 때는 세상도 사랑하나면 바꿀 것 같던 기세였답니다.^^*
깊이있는 글 뵙고갑니다. 건강하세요, 시인님.^^*

장대연님의 댓글

장대연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제게도 등나무를 소재로 한 시가 한 수 있습니다만,
이 시인님의 글을 대하면서
저 섬세한 터치는 죽었다가 다시 깨어나도 힘들겠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빈여백동인 목록

Total 21,450건 478 페이지
빈여백동인 목록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추천
2370 박우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91 2019-08-07 3
2369 박안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91 2020-09-30 1
2368 김경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91 2021-02-20 1
2367 이준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91 2022-09-29 0
2366
친구 댓글+ 7
권영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90 2006-03-27 0
2365
모래성 댓글+ 11
정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90 2006-03-31 2
2364
답변글 해를 바라며 댓글+ 7
한미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90 2006-07-20 0
2363 신의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90 2007-01-08 3
2362 no_profile 윤시명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90 2008-01-24 2
2361 박우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90 2019-07-29 3
2360 김경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90 2019-12-18 2
2359 박기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9 2006-05-17 1
2358 no_profile 임남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9 2006-07-03 0
2357 전 * 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9 2006-10-10 0
2356
댓글+ 4
현항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9 2006-11-29 3
2355
불치의 병 댓글+ 5
김진경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9 2006-12-21 1
2354
그 사람 댓글+ 4
이광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9 2007-11-17 4
2353
무지개 댓글+ 2
정유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9 2008-03-07 2
2352
생각 댓글+ 3
no_profile 송상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9 2008-03-18 3
2351
崇金 댓글+ 3
엄윤성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889 2008-04-03 2
2350 no_profile 시사문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9 2023-11-29 0
2349
기억 댓글+ 7
김종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8 2006-04-03 2
2348 함재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8 2006-04-21 6
2347
아가의 울음 댓글+ 7
백원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8 2006-04-28 4
2346
뜻밖의 한국사 댓글+ 6
김희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8 2006-05-29 0
2345
애벌레 댓글+ 8
김춘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8 2006-06-30 0
2344 김희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8 2006-08-28 0
2343
만남 ㅡ3 댓글+ 4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8 2007-03-17 5
2342 박종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8 2007-10-08 1
2341 박안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8 2021-09-25 1
2340
情念 댓글+ 5
전 * 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7 2006-03-12 2
2339
群衆에 告함 댓글+ 5
전 * 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7 2006-04-14 2
2338
답변글 [re] 이슬 댓글+ 1
no_profile 손갑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7 2006-04-24 0
2337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7 2006-05-29 2
2336 no_profile 손근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7 2006-07-12 0
2335
해파리냉채 댓글+ 5
유일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7 2006-07-22 0
2334
청솔모 댓글+ 6
이광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7 2007-12-16 6
열람중
등라(藤蘿) 댓글+ 5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7 2008-01-21 5
2332
길고양이 댓글+ 2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7 2019-01-09 0
2331 김경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7 2020-05-13 1
게시물 검색
 
[02/26] 월간 시사문단…
[08/28] 토요일 베스트…
[07/03] 7월 1일 토…
[04/28] 5윌 신작시 …
[11/09] 2022년 1…
[08/08] 9월 신작 신…
[08/08] 9월 신작 신…
[06/29] -공개- 한국…
[06/10] 2022년 ◇…
[06/10] 2022년 ◇…
 
[12/28] 김영우 시인님…
[12/25] 시사문단 20…
[09/06] 이재록 시인 …
[08/08] 이번 생은 망…
[07/21] -이번 생은 …
 
월간 시사문단   정기간행물등록번호 마포,라00597   (03924)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54길 17 사보이시티디엠씨 821호   전화 02-720-9875/2987   오시는 방법(-클릭-)
도서출판 그림과책 / 책공장 / 고양시녹음스튜디오   (10500) 고양시 덕양구 백양로 65 동도센트리움 1105호   오시는 방법(-클릭-)   munhak@sisamundan.co.kr
계좌번호 087-034702-02-012  기업은행(손호/작가명 손근호) 정기구독안내(클릭) Copyright(c) 2000~2024 시사문단(그림과책).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