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오시는 방법(-클릭-) 회원가입은 이곳으로 클릭++^^ 시작페이지로 이름 제목 내용

환영 합니다.  회원가입 하시면 글쓰기 권한이 주어집니다.

회원 가입하시면 매번 로그인 할 필요 없습니다.

맹인을 가이드하는 정신박약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 :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 댓글 5건 조회 1,759회 작성일 2007-05-28 14:18

본문

맹인을 가이드하는 정신박약자



                                                                                                                                                                                        이 월란



두 사람이 팔짱을 끼고 걸어오고 있다. 한 사람은 한 손에 든 지팡이를 좌우로 흔들며 눈을 감고 있고 다른 한 사람은 I am Sam이라는 영화에 나오는 그 Sam처럼 입술을 과장되게 실룩거리면서 팔자걸음으로 걸어오고 있다. 맹인을 가이드하는 정신박약자, 그는 모퉁이를 돌 때 맹인을 배려하지 못했다. 맹인의 허벅지가  책상 모서리에 부딪혔고 손등이 긁혔다. 그래도 맹인은 억세게 끼인 팔짱을 뿌리치지 않았다.


부모가 되는 법도, 엄마가 되는 법도 배운 적이 없는 또다른 지체부자유자인 난 내게 팔짱을 끼인 청맹과니같은 내 아이를 그렇게 끌고 다녔는지도 모른다. 어려서 앞이 보이지 않는 아인 그랬었나보다, 세상은 너무 높아요, 엄마. 저를 이끌어 주세요. 어느 날 밤, 난 정말 소경처럼 두 눈 꼭 감고 잠든 아이를 붙들고 울었다. 자는 아이의 허벅지엔 파란 멍꽃이 피어 있었고 손등은 긁혀 피가 굳어 있었다. 모퉁이를 돌 때마다 나도 그 아일 배려하지 못했다. 아인 그 생채기들을 평생 안고 살아갈 것이다. 비가 오는 날이면 노인네 뼈마디 쑤시듯 그 아인 다리를 절룩거릴지도 모른다. 긁힌 손등 위에 짠 눈물방울이 떨어져 아려와 몸소름이 돋을지도 모른다.


무지하다는 건 때론 폭력이다. 어리석다는 건 모진 슬픔이다. 그렇게 아프고, 생채기를 내고서야 앞이 보이게 되고, 깨닫게 되고, 정상인이 될 수 있다는 건 참으로 잔인한 단 한번의 인생이다. 한번 모태를 떠나오면 유턴도, 추월도, 후진도 허락되어 있지 않은 삶의 일방통행로에서, 그래서 걸어온 길마다 오돌도돌 돋아난 흉터들이 손 끝에 늘 만져진다는 건......


내일은, 이제 몇 달 후면 내 허락 없이도 신용카드에 사인을 할 수 있고 시집도 갈 수 있는 성인이 되는 그 아이와 키재기를 할 것이다. 새끼손가락 마디의 반의 반이라도 엄마보다 더 크다는 사실을 거울 속에서 확인할 때마다 등붙인 엄마의 엉덩이가 엎어지도록 밀어내며 팔짝 팔짝 좋아라 했던 그 아이이게, 세상은 이 엄마에게도 높고 높은 담이었다고 말해주리라. 그 아일 꼭 껴안고 그렇게 꼬옥 말해주리라. 
                                                                                           
                                                                                                                                                                                    2007.5.27

추천0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금동건님의 댓글

금동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그 아이에게 세상은
이 엄마에게 높고 높은 담이었다고
말해주리하
그 아일 꼭 껴안고 그렇게 꼬옥 말해주리라
좋은글 뵙고갑니다

목원진님의 댓글

목원진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축하합니다. 이제 곧 예쁜 성인이 한 사람 등장하시게 되니,
참으로 자연스럽게 억지 없는 알기 쉬운 표현으로 멋진 서사시를
보여주셨습니다. 공감을 하면서 그럼요, 하면서, 여기서도 "애들은
어버이의 등을 보며 자란다."라고 곧잘 말 합니다. 이월란 시인님의 분신은
손색없는 사회인이 되시리라는 보지 않으면서도 그러한 선입감을 품고 있습니다.
한편, 이세들에 과분한 기대는 보이지 않는 무거운 짐을 얹게 되는 것도 사실이었습니다.
저의 지나온 어리석은 자녀 교육의 맹신은, 애들이 성인이 되는 과정에서 너무도 잘 보여주었었습니다.

이순섭님의 댓글

이순섭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아름다운 모정이 새록새록 피어나고 있습니다. 부모의 심정을 아이들이 반 만이라도 알아주었으면 좋으련만, 아이들의 심정을 부모들이 10분의 1 정도라도 알아주었으면 하는 심정입니다.

유년시절 딸의 눈에 비친 어른들의 세계를 깔끔하게 처리한 2006년 한라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 김명희 시인님의 `개성집`을 소개해 드립니다.

내 유년에 가까운 곳에는 개성집이라는 술집이 있었다.
늙은 작부 하나가 있었고 아버지 부랑의 날들이 있었다.
붉은 입술에 검은 점
저녁이면 문득 툇마루 끝에 걸리던 속살 속의 노을
개성집은 우리들의 적이었다.
밤이 깊으면
낡은 송학표 주전자가 시끄럽게 장단을 이끌어주던
검은 루핑 지붕 밑에서 아버지는 몇날 며칠을 머물렀다.
아교처럼 단단한 아버지의 편력은 여름내 계속되었고
그럴 때 마다 나는 어머니에게 떠밀려 그곳을 들르곤 했다.
돌아오는 길엔 누깔사탕과 은전 한 잎이 내 안으로 넣어졌고
나는 사탕이 다 녹기도 전 어머니에게 들러댈 붉은 변병들을
입 안 한켠에 감춰야만 했다.
그.게.슬.픔.인.지.모.르.고
어린시절 내 슬픔 가까운 곳엔 개성집이라는 유곽이 있었다.
아카시아는 밤마다 멀미처럼 부풀어 올랐고
저녁의 라디오 속에선 붉고 격양된 노래들이 꽃잎처럼
쏟아져 나왔다.
조팝꽃이 끝나면,
한 낮의 길엔 양산을 쓴 여인 하나가 가볍게 스쳤고
그런 날 어머니의 가슴은, 해가 지고 오랜 뒤에도
쉽사리 저물지 못했다.

심사위원 : 김 수 열


빈여백동인 목록

Total 460건 9 페이지
빈여백동인 목록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추천
140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84 2007-07-14 5
139
사랑아 1, 2 댓글+ 8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38 2007-07-13 3
138
선물 댓글+ 10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62 2007-07-12 0
137
들꽃 댓글+ 10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2 2007-07-11 2
136
사랑 2 댓글+ 13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7 2007-07-10 2
135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66 2007-07-09 0
134
그냥 두세요 댓글+ 5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92 2007-07-08 0
133
오줌소태 댓글+ 9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58 2007-07-07 0
132
레모네이드 댓글+ 10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96 2007-07-06 0
131
마작돌 댓글+ 6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1 2007-07-04 0
130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71 2007-07-03 0
129
어떤 진단서 댓글+ 8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4 2007-07-02 1
128
동대문 댓글+ 7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0 2007-07-01 0
127
파도 댓글+ 9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3 2007-06-30 0
126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32 2007-06-29 0
125
그리움 댓글+ 10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43 2007-06-28 1
124
만성 (慢性) 댓글+ 7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36 2007-06-27 0
123
당신에게도 댓글+ 7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87 2007-06-26 0
122
공항대기실 댓글+ 9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39 2007-06-25 0
121
가시내 댓글+ 8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61 2007-06-11 0
120
처음 댓글+ 4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26 2007-06-10 0
119
잔상(殘像) 댓글+ 6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25 2007-06-09 1
118
수화 (手話) 댓글+ 8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9 2007-06-08 0
117
심발지진 댓글+ 4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32 2007-06-07 0
116
뒷뜰의 장미 댓글+ 5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79 2007-06-06 0
115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1 2007-06-05 0
114
상상임신 댓글+ 6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41 2007-06-04 0
113
눈의 혀 댓글+ 5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69 2007-06-03 0
112
짤 없는 주인장 댓글+ 6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2 2007-06-02 0
111
그리워라 댓글+ 7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88 2007-06-01 1
110
좋은 글 댓글+ 9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31 2007-05-31 0
109
너의 이름은 댓글+ 10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94 2007-05-30 0
108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85 2007-05-29 0
열람중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60 2007-05-28 0
106
사랑 댓글+ 8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86 2007-05-27 0
105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28 2007-05-26 0
104
갱신(更新) 댓글+ 10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21 2007-05-25 0
103
호감 댓글+ 5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94 2007-05-24 0
102
기다림 댓글+ 6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57 2007-05-23 0
101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3 2007-05-22 0
게시물 검색
 
[02/26] 월간 시사문단…
[08/28] 토요일 베스트…
[07/03] 7월 1일 토…
[04/28] 5윌 신작시 …
[11/09] 2022년 1…
[08/08] 9월 신작 신…
[08/08] 9월 신작 신…
[06/29] -공개- 한국…
[06/10] 2022년 ◇…
[06/10] 2022년 ◇…
 
[12/28] 김영우 시인님…
[12/25] 시사문단 20…
[09/06] 이재록 시인 …
[08/08] 이번 생은 망…
[07/21] -이번 생은 …
 
월간 시사문단   정기간행물등록번호 마포,라00597   (03924)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54길 17 사보이시티디엠씨 821호   전화 02-720-9875/2987   오시는 방법(-클릭-)
도서출판 그림과책 / 책공장 / 고양시녹음스튜디오   (10500) 고양시 덕양구 백양로 65 동도센트리움 1105호   오시는 방법(-클릭-)   munhak@sisamundan.co.kr
계좌번호 087-034702-02-012  기업은행(손호/작가명 손근호) 정기구독안내(클릭) Copyright(c) 2000~2024 시사문단(그림과책). All Rights Reserved.